Swift
-
[Swift] Closure 에 대해 알아보자Swift 2022. 3. 31. 12:07
문서에서 말하는 Closure에 대한 정의이다 그리고 이건 애플 공홈 독스의 정의 Closure는 func에게 func를 전달하는 방법중 하나인것같다. grabLunch에는 두가지가 전달된다 message: String, search라고 불릴 함수 grabLunch가 호출되면서 뒤에 {print("Alfredo's Pizza: 2 miles away")} 이부분이 클로져인것이고 grabLunch 함수 내에서 search()으로 호출이 된다. 때문에 grabLunch의 함수 실행 순서대로 1. print(message) 2. print("Alfredo's Pizza: 2 miles away") 이렇게 실행이 되는 것이다
-
[Swift] Nested Functions : 함수안에 함수Swift 2022. 3. 31. 09:42
코드를 한번 읽어보자 operate이라는 함수가 호출이 된다. 그리고 operate함수는 add 혹은 subtract이란 함수를 return 한다 고로 let operation = add() 혹은 subtract() 일것 이다. operate는 symbol이라는 arg를 받고, symbol이 + 라면 add를 return하고 아니라면 subtract를 return한다 (삼항연산자로 작성되어 있다) 그렇게 되면 operation = add(8,3)이 되고 둘은 더해질것이다. 그리고 result라는 변수에 담기게 되고 "Result : 11"이라는 아웃풋을 갖게된다. 이렇다 시피 Nested Function은 함수 안에 함수를 의미한다
-
[Swift] 매개변수로 함수 넣어주기Swift 2022. 3. 31. 03:26
일단 코드를 읽어보자 hasAnyMatches는 두가지 매개변수를 받는다 1. list: numbers = [20,19,7,12] 2. condition : func lessThanTen(Int) -> Bool numbers라고 전달된 list는 반복문을 돌면서 condition이라고 전달된 함수 안에 값이 들어갔다 온다 condition 함수는 lessThanTen 함수 이다 Int를 받고 Bool 을 뱉어준다 내용은 이러하다 10보다 작으면 true 반복문을 돌면서 list안에 있는 Int가 10보다 작으면 return true 반복문을 다 돌고 10보다 작은 수가 없었을 경우 return false